전자정부 프레임워크의 컴포넌트를 추가하면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도 생성이 되어야 한다. 물론 sql파일로 지원하지만 컴포넌트를 추가하면서 동시에 테이블도 생성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 Database Connections에 Profile을 추가하면 불러와서 쓸 수 있다. Window -> Show View -> Data Source Explorer 누른다. 이런 탭이 생성되고 Database Connections 안에 Profile들이 보인다. DefaultDS를 수정해도 되고 아래와 같이 새롭게 추가해도 된다. Connection Profile Types에 추가하려는 DB를 검색하고 클릭하면 된다. 안에 내용을 추가하고 Test Connction 연결 확인이 되면 Finish를 누르면 추가 완료가 된 것..
[Eclipse]Dynamic web module version 2.5 VS 3.0 차이점
2021.01.02
가장 큰 차이 점은 Dynamic web module version 3.0 에서는 WEB-INF >> web.xml 파일이 없음 Dynamic web module version 2.5 에서는 WEB-INF >> web.xml 파일이 있어 편집가능 그래서 Dynamic web module version 3.0 이나 3.1은 직접 추가하거나 (하려면 generate 해야함) 3.1은 annotation방식으로 대체함 (내부적으로 xml이 존재)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톰캣 실행이 오래 걸리면서 시간제한 때문에 멈추고 진행이 되지 않는다. 오류 메시지 : server Server Tomcat v8.5 Server at localhost was unable to start within 10(45) seconds. If the server requires more time, try increasing the timeout in the server editor. 이와 같은 오류가 등장한다,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다. Servers 안에 Tomcat을 더블클릭한다. Timeouts을 클릭한다. Start와 Stop의 시간을 조정한다. (Stop은 바꾸지 않아도 된다) 이후 실행부턴 정상으로 진행됨
이클립스에서 개발할 때마다 콘솔을 보는데 가끔 서버만 실행해도 오류가 위로 넘어갈 정도로 많은 적이 있습니다. 콘솔의 버퍼 사이즈를 키워서 보여지는 양을 늘리면 됩니다. Winodw ->Preferences -> Run/Debug -> Console를 들어갑니다. Console buffer size 안에 800000이라고 들어가 있지만 기본값은 80000입니다. 늘리시고 Apply and Close 하시고 나오시면 적용돼서 콘솔을 다보 실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