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tstrap]DevTools failed to load SourceMap 경고 메시지 없애기
2021.01.19
부트스트랩에서 파일을 직접 생성해서 했더니 개발자 도구 콘솔에서 DevTools failed to load SourceMap: Could not load content for ***://***. com/sample.min.js.map: HTTP error: status code 404, net::ERR_UNKNOWN_URL_SCHEME 해당 내용이 발생한다 경고이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보면 그냥 나쁠거같아서 지우려고 했다. 해당 메시지가 발생되는 js나 css에 // # sourceMappingURL=sample.min.js.map라고 적어 저 있는 부분을 // //# sourceMappingURL=sample.min.js.map 주석 처리하면 된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header나 footer 또는 내비게이션 바 로그인 정보 , 메뉴 정보 등등 공통적으로 다수의 페이지에서 나와야하는 내용들이 있다 특정 부분을 JSP,HTML에 만들어두고 Include 해서 사용할 수 있다. include에는 2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1. include directive (지시어) 2. include action (액션) 공통점은 동일하게 파일을 불러와서 사용 가능한 점이고 , 차이점으로는 지시어는 해당 소스를 포함시킨 후에 컴파일을 하지만 액션은 실행 시점에서 해당 파일을 수행하여 결과를 포함시킨다. include 지시어 사용 방법 --- 현재 파일 --- 가져올 파일의 경로를 넣어 다른 파일을 가져와 현재 파일에 뿌려준다. include 액션 사용 방법 --..
[Git]error: pathspec 'branch' did not match any file(s) known to git 에러 해결
2021.01.18
브랜치를 추가하고 checkout 받으려고 하면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git remote update git fetch 그리고 하던 대로 체크 아웃하면 정상으로 작동됩니다. git checkout branch 가끔 권한 문제가 생길수도있는데 Git bash를 사용중이라면 권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서 진행해주세요
nect2r.tistory.com/31 [Git]Git 브랜치 생성하기 'nect2r'라는 이름으로 브랜치를 생성합니다. 브랜치는 branch 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git branch nect2r 옵션을 지정하지 않고 branch 명령어를 실행하면 브랜치 목록 전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nect2r.tistory.com 앞에서 만들었던 브랜치로 전환하는 방법입니다. $ git checkout 제가 만들었던 브랜치인 nect2r로 변경하려면 $ git checkout nect2r를 하면 됩니다. 브랜치를 생성과 동시에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 git checkout -b
'nect2r'라는 이름으로 브랜치를 생성합니다. 브랜치는 branch 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git branch nect2r 옵션을 지정하지 않고 branch 명령어를 실행하면 브랜치 목록 전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이 붙어있는 것이 현재 브랜치입니다 $git branch nect2r * master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의 컴포넌트를 추가하면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도 생성이 되어야 한다. 물론 sql파일로 지원하지만 컴포넌트를 추가하면서 동시에 테이블도 생성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 Database Connections에 Profile을 추가하면 불러와서 쓸 수 있다. Window -> Show View -> Data Source Explorer 누른다. 이런 탭이 생성되고 Database Connections 안에 Profile들이 보인다. DefaultDS를 수정해도 되고 아래와 같이 새롭게 추가해도 된다. Connection Profile Types에 추가하려는 DB를 검색하고 클릭하면 된다. 안에 내용을 추가하고 Test Connction 연결 확인이 되면 Finish를 누르면 추가 완료가 된 것..
상황 컴퓨터 시작 -> 이클립스 실행 -> 프로젝트 실행 -> 톰캣 8080 포트는 사용 중이라 안된다고 에러 nect2r.tistory.com/28 에 맞춰서 8080포트 없앰 -> 프로젝트 실행 -> 오라클이 실행이 안되어있다고 에러 -> 서비스에서 리스너 시작 -> 프로젝트 실행 -> 톰캣이 8080포트가 사용 중이라고 뜸 프로젝트는 실행에 실패했고 톰캣은 꺼져있는데 왜 8080포트가 사용 중일까? 혹시나 오라클 포트를 확인해봄 오라클 접속 select DBMS_XDB.GETHTTPPORT() from dual; 입력 오라클의 포트가 8080인 것 분명 1521로 접속하는데 왜 8080으로 잡혀있는 것일까..? 이유는 찾지 못했다 1521로 다시 변경 --> EXEC DBMS_XDB.SETHTTPP..
톰캣을 구동하다 보면 가끔 특정 포트가 사용 중이라 tomcat을 실행해도 안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럴 때는 사용 중이던 포트를 없애고 다시 재 구동시키면 된다. 1. cmd 에서 netstat -aon을 입력 없앨 포트에 맞춰 PID를 확인합니다 2. cmd(관리자 권한 필요) 에서 taskkill /f /pid 번호 성공되면 다시 TOMCAT을 실행하면된다.
[Spring Framework Error] web.xml is missing and <failOnMissingWebXml> is set to true
2021.01.12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설치하고 기본적인 egovFrame web Project를 생성만 했는데도 Problems에 에러가 나있다. web.xml is missing and is set to true pom.xml 경우에는 pom.xml에 4.0.0 kr.xxx.xxx sample YOURWARNAME 1.0.0 sample http://www.egovframe.go.kr ... ... org.apache.maven.plugins maven-war-plugin 2.4 src/main/webapp YOURWARNAME false ... ... plugins 안에 내용을 넣으면 된다 은 본인 프로젝트명에 맞춰야 한다.
SELECT 'DROP TABLE "' || TABLE_NAME || '" CASCADE CONSTRAINTS;' FROM user_tables; 위에 문장을 실행하면 현재 유저가 가지는 모든 테이블을 DROP문으로 결과를 출력합니다. DROP table1 FROM USER; DROP table2 FROM USER; DROP table3 FROM USER; DROP table4 FROM USER; DROP table5 FROM USER; DROP table6 FROM USER; DROP table7 FROM USER; DROP table8 FROM USER; DROP table9 FROM USER; DROP table10 FROM USER; 이제 복사해서 실행하면 테이블이 삭제됩니다!
만약 전화번호 입력 칸 같은 경우 010-0000-0000 2,3번째 input 태그 안에는 4글자 제한이 필요하다 라는 경우에 사용하는 게 input에 maxlength 속성이 있다.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하지만 전화번호 같은 경우 숫자만와야하니 type을 Number 변경한다 이경우 maxlength가 작동되지 않고 제한을 넘어간다. type="Number"인 경우 maxlength를 사용할 수 없다 javascript로 처리하게 된다. function maxLength(object){ if (object.value.length > object.maxLength){ object.value = object.value.slice(0, object.maxLength); } }